HISTORY
유목민족인 사모예드족은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 북서부로 이주를 하면서 사모예드라 불리우는 개와 함께 왔습니다.시베리아의 척박한 땅의 사모예드족은 대부분 순록에 의존하는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순록의 충분한 먹이를 찾아 계속적으로 이동을 했습니다.그들은 또한 척박한 환경에 매우 강한 개에게도 의존하였는데 그개들은 난폭한 맹수들로부터 순록을 지키는 일을 해왔습니다.
HISTORY
유목민족인 사모예드족은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 북서부로 이주를 하면서 사모예드라 불리우는 개와 함께 왔습니다.시베리아의 척박한 땅의 사모예드족은 대부분 순록에 의존하는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순록의 충분한 먹이를 찾아 계속적으로 이동을 했습니다.그들은 또한 척박한 환경에 매우 강한 개에게도 의존하였는데 그개들은 난폭한 맹수들로부터 순록을 지키는 일을 해왔습니다.
솜사탕같은 털이 매력적인 비숑프리제는 아프리카 대륙의 대서양에 위치한 카나리아 군도의 토착견을 16세기경 프랑스에서 소형화하는 것에 성공하였으며, 귀부인들 사이에서 향수를 뿌려서 안고 다니는 흰색의 개가 유행하였습니다.비숑은 가정견으로 개량되었기 때문에 똑똑하고 충성심이 강한 편입니다.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프리제라라는 뜻은 프랑스어로 곱슬거리는 털이고 비쳔은 장식하다라는 의미로 덥수룩한 고블털로 장식한 견종이라 불리우며 프랑스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보더콜리 세상에서 가장 지능이 높은 개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 녀석의 조상견은 8세기 후반부터 11세기까지 걸쳐서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발생한 바이킹이 영국에 반입한 순록몰이용의 목축견이었습니다. 그 후, 토착 목양견이나 라프 콜리의 조상견과 교잡하여 19세기경에는 거의 현재의 타입이 되었습니다.라프 콜리는 쇼 독(Show Dog)의 길을 선택하였으나, 보더 콜리는 작업 능력만이 중시되었기 때문에 목장에 그대로 남겨지게 되어 도시 생활자와 국외에 알려지는 기회가 적었습니다. 그러나 전람회에서 위킹 트라이얼, 오비디언스 트라이얼이 실시되면서 보더 콜리를 새롭게 보게 되었고, 공인 견종이 된 것입니다.
골든리트리버의 조상은 러시아 카프카스의 목양견인 러시아트래커였습니다. 19세기 중엽에 스코틀랜드의 트위드마우스 경이 세터와 교배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후 당시 영국에서 유행하던 새 사냥에 적합한 사냥개를 만들기 위해 플랫코티드리트리버와 블러드하운드, 워터 스패니얼을 교배하여 현재의 종으로 개량되었습니다.
치와와는 모두다 알다시피 평균 체중 2.7kg으로 세계에서 제일 작은 견종입니다.비교하자면 파트라슈로 많이 알려진 세인트버나드의 약20배 정도 작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치와와의 기원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그중에 하나가 바로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견종 테치치(Techichi)라는 작은 견종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강력한 군사력으로 현재의 맥시코시티의 작은 부족들을 병합하며 10~12세기 맥시코 중부 지방을 지배했던 툴텍족은 이 개를 매우 신성한 개로 취급하고 제사에도 이용하고 주인과 순장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툴텔족에 이어 맥시코 땅을 지배한 아즈텍인들도 마찬가지로 테치치를 신성시하며 키웠다고 전해집니다.이런 맥시코의 테치치는 19세기 후반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인들에 의해 지금과 같은 소형견으로 개량되었다는 설은 있지만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고 합니다.
여우를 연상케 하는 외모, 특히 사막여우처럼 귀가 넓은데 비해 다리는 닥스훈트 처럼 짧아 귀염성을 갖춘 웰시코기는 인상적인 짧은 다리로 바쁘게 움직이는 부지런한 녀석입니다. 이름에도 난쟁이란 의미의 ‘코기’란 수식어가 붙어 웰시코기로 불려졌습니다.
Copyright © 2013 9dog